![]() |
![]() |
![]() |
![]() ![]() ![]() ![]() ![]() ![]() |
|
|
오늘의 기사 | 구독신청 | |
한인의원 4인방 의회난입 비판
한인 연방 하원의원 4인방이 6일 연방의회 의사당에 난입해 폭력 사태를 일으킨 시위대를 향해 강력히 비판했다.
메릴린 스트릭랜드(워싱턴), 미셸 박 스틸(캘리포니아), 영 김(캘리포니아), 앤디 김( 뉴저지) 의원들은 이날 조 바이든 당선인의 대선 승리를 확정하는 상·하원 합동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등원했다가 시위대의 폭력 사태와 의회에 난입하는 장면 모두 직접 목격했으며, 의사당이 뚫린 모습에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민주당 소속 메릴린 스트릭랜드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국회의사당이 뚫렸다"며 "상·하원이 모두 대피했다"면서 시위대 난입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이어 "이것은 평화적인 시위가 아니라 테러리즘"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이 폭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단지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우리의 민주적 절차를 훼손한 직접적인 결과이자 부끄럽고 완전히 난폭한 행동"이라고 규탄했다.
또한 스트릭랜드 의원은 "나는 오늘 자유롭고 공정한 대선 결과를 인증하기 위해 의회에 왔지만, 남부연합기를 든 테러리스트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선동된 쿠데타를 시도했다"면서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위대를 향해 "실수하지 말라"며 "우리는 폭력 사태가 국민의 목소리를 잠재우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바이든 당선인을 선출한 미국인들의 투표 결과를 승인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화당 소속인 미셸 박 스틸 의원과 영 김 의원도 이번 폭력 시위 사태에 대해 강력히 비판했으며, 스틸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무법과 폭력은 결코 용납될 수 없고, 이번 폭력 사태에 연루된 사람들은 즉각 멈춰야 한다"며 "헌법은 표현의 자유와 평화로운 시위를 보호하지만, 이번 사태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애국심이 아니다, 그것은 미국의 이상에 대한 배신행위이다"라고 비판했다.
영 김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목숨 걸고 지켜준 수사기관에 감사를 표했으며, 이어 "평화적인 시위는 수정헌법 제1조의 권리이자 우리 민주주의의 기본이지만, 폭력은 용납될 수 없다"며 "의회에서 벌어진 혼란과 폭력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했다.
또한 "우리 가족은 아메리칸 드림을 이루기 위해 미국에 왔지만, 오늘 우리가 목격한 것은 미국의 모습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폭력을 규탄하고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분열이 아니라 통합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소속 앤디 김 의원은 "오늘은 민주주의와 미국에 어두운 날"이라며 "의회는 미국의 신성한 땅으로, 폭력 시위대에 포위돼선 안 되는 곳이고, 의회와 민주주의에 대한 공격에 가슴이 아프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가 본 것은 이 나라를 위대하게 만든 모든 것에 대한 모욕"이라며 "대선 결과를 인증하고 헌법을 지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의사당이 속수무책으로 시위대에게 뚫리면서 당국의 부실 대응이 논란이 되고 있으며, 이미 예고된 시위인데도 당국이 시위대 규모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소수 인력만 배치하였으며, 이날 대응이 그간 트럼프 행정부가 시위 현장에서 강경 기조를 고수해온 것과 현저히 다르다는 지적이다.
김도형 기자
미주조선일보 회사소개 지면광고 구독신청 기사제보 온라인광고 인재초빙 미주조선 TEL(703)865-8310 FAX(703)204-0104 |
![]() |
COPYRIGHT ⓒ Chosunilbousa.com 2007 - 2018
![]() |
뉴스 및 콘텐츠를 무단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과 관련,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poweredby 4uhomepage.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