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 잡아당기는 뜻이 ‘한라’
한라산(漢拏山), 우리가 쉽게 자주 쓰는 말이지만 그 의미는 아리송하다. 산천조에 그 설명이 자세하게 나온다.
‘한라산은 주 남쪽 20리에 있는 진산(鎭山)이다. 한라(漢拏)라고 말하는 것은 운한(銀河의 의미)을 라인(拏引: 끌어당김)할 ...
read more
운악산 절경을 숨겨둔 소박한 암자
서울에서 비교적 가까운 북쪽 포천에 산세가 아름답고 기암괴석의 빼어난 풍경으로 유명한 운악산이 있다. 운악산(937.5m)은 포천시와 가평군의 경계에 위치한 바위산으로 중부지방 5악산(운악산, 감악산, 화악산, 관악산, 송악산)의 하나다.
...
read more
무얼 보든 상상을 뛰어넘는 땅
에스키모의 나라, 온통 얼어붙은 땅이라고 생각했던 것과는 정반대로 알래스카의 수많은 산은 아름드리나무가 가득하고, 끝없이 펼쳐지는 초록의 숲에는 곰을 비롯한 각종 야생동물이 서식한다. 바다 밑에는 고래, 상어, 바다표범, 연어까지 야생으로 가득하다. ...
read more
부처님, 어찌 두륜산 능선에 누워 계시나이까?
4월 ‘땅끝’ 해남은 봄빛이 잦아들고 있었다. 며칠이나 고르고 고른 ‘날씨 좋은 날’에 파란 하늘이 드러났다. 하지만 미세먼지의 위력은 대단했다. 바람을 따라 한반도로 흘러들어온 먼지는 남해바다를 뿌옇게 뒤덮었다. 아직 이른 아침이라 그렇겠지, 작은 ...
read more
일망무제의 ‘조망명산’
이와테현 중앙부에 솟아 있는 하야치네산·1,917m은 1982년 야쿠시다케·1,645m, 케이토산과 더불어 하야치네국정공원으로 지정된 산이다. 기타카미산지최고봉인 하야치네산은 사문암암질의 산으로,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고유식물종이 자라는 고산식물 ...
read more
싸륵 싸륵 눈 소리 감미로운 영월로의 초대
도무지 헤아릴 수 없을 영겁의 세월이 깃든 바위가 있다. 방도를 알 수 없는 자연의 조화가 이뤄낸 절경 앞에서 인간은 자못 압도되고 숙연해진다. 거대한 바위는 오랜 세월 풍파를 겪으며 둘로 쪼개져 하늘을 떠받친 기둥 같은 모양새가 됐다. 영월 10경 ...
read more
농촌 모습이 가장 잘 보존된 곳
따라비의 능선에 설 때마다 여느 오름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풍광에 매료되는데, 움푹움푹 파인 세 개의 굼부리(분화구)가 한 오름 안에 들어선 모양새가 그야말로 희한해서다. 동서에서 마주 보는 두 봉우리를 남쪽 능선이 부드럽게 감싸 안았고, 북쪽으로는 ...
read more
상고대, 운해, 여명 3박자 어우러진 작품
2월 덕유산은 상고대 천국이다. 곤돌라를 타고 오르는 설천봉 구간부터 최정상인 향적봉(해발 1,614m)에서 중봉에 이르는 구간은 해발고도가 1,500~1,600m 고산지대로서 우리나라 겨울 눈꽃산행의 최고 절정지이다. 덕유산 겨울 상고대 주요 사진 ...
read more
이토록 장엄한 빙하도 언젠가 숨이 멎겠지…
알래스카는 빙하 천국이다. 약 10만 개의 빙하가 산과 계곡, 바다를 뒤덮고 있다. 그중 마타누스카빙하Matanuska Glacier는 알래스카 대륙에 있는 10만 개의 빙하 중 세계 최대의 육지 빙하이다. 마타누스카-수시트나Matanuska-Susi ...
read more
수도권에서 맛보는 ‘강원도 산세’
수리산=(489.2m)은 맹금류인 독수리를 닮은 산이다. ‘안산군’편에 “진산을 취산”이라 했다. 취산이란 그 형세가 수리산의 상징적 봉우리인 수암봉을 칭하고, 취란 수리를 뜻한다. 독수리의 머리처럼 치켜든 거대한 수암봉의 모습이다. 김정호가 편찬한 ...
read more
태평양과 빙하와 우림이 공존 ‘거인의 땅’
[나홀로 세계여행 미 올림픽국립공원]
영화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과 ‘만추’로 우리에게 익숙한 도시 시애틀Seattle은 ‘숲의 도시’로도 불린다. 이 도시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곳이 미국 워싱턴주의 올림픽국립공원Olympic ...
read more
정상 일출, 8부 능선 만경사 일몰 일품
[조망 좋은 영월의 산ㅣ망경대산]
“망경대산은 지리산만큼 덕이 있는 산입니다. 백두대간에 있는 어떤 봉우리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봉우리가 망경대산 정상입니다. 풍수학자들은 이 정상을 ‘연잎이 떠받치고 있는 연꽃자리’라고 합니다. 주변 봉우 ...
read more
수행하며 해탈에 이르는 ‘달마의 길’
인도 파사국의 왕자였던 ‘달마’는 중국으로 건너가 소림사에서 9년간 면벽수련을 한 끝에 깨달음을 얻었다. 이를 계기로 달마대사는 이전의 경전 중심의 교종 불교를 탈피해 좌선 중심의 선종을 창시했다. 선종은 글씨나 불경을 잘 모르더라도 참선을 통해 수행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