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 | 구독신청 |

수도권에서 맛보는 ‘강원도 산세’

01/31/2023 | 12:39:03PM
수도권에서 맛보는 ‘강원도 산세’
수리산=(489.2m)은 맹금류인 독수리를 닮은 산이다. <세종실록지리지> ‘안산군’편에 “진산을 취산”이라 했다. 취산이란 그 형세가 수리산의 상징적 봉우리인 수암봉을 칭하고, 취란 수리를 뜻한다. 독수리의 머리처럼 치켜든 거대한 수암봉의 모습이다.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의 안산 산천 항목에는 “태을산이라고도 하고 견불산이라고도 한다. 꽤 험준하고 높으며, 취암봉이 있는데 방언에 취를 수리라 한다”고 기록돼 있다. 태을산은 수리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인 태을봉(489.2m)을 칭한다.

수리산 이름 유래에는 이밖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신라 진흥왕 때 창건한 수리사에서 기인한다고도 하고, 조선시대 때 어느 왕손이 수도해 수리산이라 했다고도 한다. 하지만 가장 설득력 있는 유래는 김정호의 <대동지지>에 기록된 것처럼 ‘수리’라는 순우리말의 새 이름에서 비롯됐다. 게다가 수리산은 3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수리의 터전이었다. 당시만 해도 수리산 멧부리 위를 유유히 호를 그리며 맴도는 수리를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산세 또한 비상하는 수리의 날카로운 눈매와 억세고 예리한 발톱, 거친 몸매를 닮았다. 안양에서 반월호수를 향해 뻗어 내린 일직선의 산세가 부리에서 꼬리에 이르는 수리의 몸통이고, 목감에서 군포를 향해 뻗은 산줄기는 양쪽 날개를 펼친 모습이다. 양 방향의 산줄기가 자그마치 각각 8km에 이른다. 그리고 수리의 활짝 펼친 날갯죽지 안의 움푹한 골짜기는 북쪽의 병목안과 남쪽의 납다골이다. 두 골짜기의 물길은 무려 4~5km에 달한다. 낮은 산이지만 산세는 거칠고 골짜기는 깊디깊다. 이 산은 2009년 7월 16일 경기도에서 남한산성과 연인산에 이어 세 번째로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12월 14일 폭설이 내린 후 한파가 몰아친 수리산을 찾았다. 수리산은 안산시뿐만 아니라 군포시의 진산이다. 산본 신도시에 들어서면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길게 뻗은 수리산이 병풍을 이룬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산본IC 입구에 자리한 태을초등학교 옆 수리약수터에서 눈 덮인 등산로를 올라선다. 첫 봉우리인 관모봉까지는 1km. 삭막한 겨울 숲은 바위투성이다.

도심 인근의 산답게 등산로가 얼기설기 나 있다. 어느 길로 가든 관모봉으로 통한다. 관모쉼터에 도착하자 명학역 방향으로 뻗은 능선과 만나고, 연이어 성결대학교 방향 능선과 합류한다. 한파에도 불구하고 한두 명의 등산객들이 산을 오르내린다. 관모쉼터 이후 능선은 제법 가팔라진다. 사방에서 몰아치는 바람을 헤치고 꽁꽁 얼어붙은 돌투성이 능선길을 오른다. 조망이 점차 트이더니 관모봉이 그 모습을 활짝 드러낸다.

관련 기사보기
바다 위에 쓴 21세기 역사…대한민국의 관문을 가다
[일본 도호쿠 명산 | 야마가타·아키타현 초카이산] 만년설과 야생화의 천국
한국의 대표 섬산에 출렁다리까지 조망 일품, 사량도 지리산
한국의 대표 섬산에 출렁다리까지 조망 일품, 사량도 지리산
은하 잡아당기는 뜻이 ‘한라’
운악산 절경을 숨겨둔 소박한 암자
무얼 보든 상상을 뛰어넘는 땅
부처님, 어찌 두륜산 능선에 누워 계시나이까?
일망무제의 ‘조망명산’
불꽃처럼 이글거리는 화강암 봉우리 ‘짜릿한 손 맛’
comments powered by Disqus
미주조선일보 회사소개 지면광고 구독신청 기사제보 온라인광고 인재초빙 미주조선 TEL(703)865-8310 FAX(703)204-0104
COPYRIGHT ⓒ Chosunilbousa.com 2007 - 2022 이메일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저작권안내 | 콘텐츠 제휴문의
뉴스 및 콘텐츠를 무단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과 관련,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poweredby 4uhomepage.com